2024년 그리고 향후, 반도체 관련주를 사야할까? AI 대장주라던 가온칩스는 왜 자꾸 떨어질까? 가지고 있어도 될까?

그 전에 세계 반도체 시장은 어떠한지 체크해 보자.
세계 반도체 산업은 미국이 설계, 일본이 소재와 장비 공급, 대만과 한국이 제조를 담당하는 안정적인 공급망을 구축해왔다. 그러나 미중 갈등으로 중국은 독자적인 공급망을 구축해야 하는 도전적인 상황에 직면하게 되었으며, 이 여파는 상호 간 무역제재에서 기술제재, 첨단산업 생태계 제재로 그 수위를 지속적으로 높여왔고, 첨단 기술의 핵심인 반도체 산업까지 이어졌다.
이는 작년 글로벌 반도체 산업이 하락세를 보이고, 국내 반도체 기업들이 반도체 가격 하락과 재고 물량 적체로 전에 없던 적자를 경험하게 된 원인이 되었다.
국내외 반도체 업계는 이 어려운 여건을 타개할 기대주로 생성형AI에 주목하고 있으며, 딜로이트 또한 생성형 AI가 반도체 시장 성장을 견인하며, 2030년에 1조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그 동안 우리나라는 메모리 반도체 강국으로 첨단 공정 파운드리 부문에서 경쟁 우위를 유지해왔다. 그러나 최근 글로벌 반도체 공급망의 재편과정에서 경쟁력을 잃어가는 모습을 보이고 있으며, 시스템 반도체, 차세대 반도체 개발 및 팹리스, 소
부장, 패키징 부문에서의 경쟁력 강화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우리 반도체 기업들은 글로벌 반도체 산업과 그 주변 환경에서 발생하는 주요 이슈들을 예의주시 해야 하고, 이에 대한 대응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출처 : Deloitte, 주형열 전무 반도체 CdE리더 ㅣ 딜로이트 컨설팅 ]
2024년 반도체 칩 매출은 생성형 AI 영향으로 반등할 것으로 기기대되지만, 복잡하고 불확실한 지정학적 요인으로 성장 예측과 대응이 어려워질 것으로 보인다.
주요 전망
반도체 칩 산업의 규모는 2020년 4,400억달러에서 연평균 8.6%의 성장률로 2030년에 1조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한다
* 2024년에는 반도체 산업의 매출과 기업들의 시가총액 역시 사상 최고치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
*생성형AI 외 타 분야 수요량은 낮으며, 현재 재고 수준은 높고 활용도는 낮은 상황
- IT세트 수요 부진으로 반도체 재고량이 급증하고 가격은 급락. 반도체 제조업체들은 이에 감산, 장비 반입 연기, 공정 전환 최소화, 투자 축소 등으로 대응
- 세계적으로 AI 챗봇 기반의 서비스가 확대되면서 스페셜티 메모리 반도체 수요가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
* 지정학적 긴장은 팹(fab)과 백엔드(back-end) 이전을 촉진하고, 공급망 복잡성과 원자재 부족 위험을 증가시킬 가능성이 높음
*다양한 불확실성에도 불구하고 반도체 산업은 2030년 1조 달러에 디를 것으로 예상
2024년 반도체 산업 핵심 이슈
2023년 반도체 칩 시장 규모는 전년 대비 9% 감소했지만, 메모리 가격 상승과 생성형 AI 수요처 증가로 2024년에는 13% 성장률을 보이며 5880억 달러 규모에 이를 것으로 전망한다
1. 반도체 산업은 생성형 AI 활용
2. 반도체 산업의 스마트 제조 트랜드
3. 반도체 조립과 테스트 업체들은 새로운 지역으로 이전
4. 심화되는 사이버 위협과 대응 방안
5. 지정학적 이슈와 수출 통제, 반도체 업계의 첨단공정 및 생성형 AI
'필독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AI 대장주 가온칩스, 두고 봐도 될까? 그 전에 2024 하반기 반도체 시장은..(2) (0) | 2024.05.26 |
---|